COB, 확산형 매립등 차이 정리
이번에 내집마련을 하고 인테리어를 싹 했다. 인테리어를 하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조명이다. 자재가 아무리 좋고 번쩍번쩍 하더라도 조명이 없으면 자재가 살지 않는다. 반면에, 자재가 좋지 않아도 조명을 빵빵하게 넣어주면 집안의 느낌이 확 산다. 그래서 나중에 집을 비싸게 살고 싶으면 조명을 군데군데 많이 넣어서 집을 화사하게 보이도록 하는 게 좋다.
COB: Chip On Board
COB는 최근에 나온 LED 모듈이다. 이와 대조되는게 SMD(Surface Mounted Device)이다. 전기를 전공하지 않았기에 자세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, 조명의 구조를 보면 차이점을 알 수 있다.
왼쪽이 흔히 말하는 다운라이트, 확산형/ 우측이 COB |
COB |
COB의 경우에는 광원을 한군데로 몰아서 설치한 구조다. 반면에 SMD는 아래 사진처럼 광원이 군데군데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.
COB |
COB |
그래서 COB를 설치하면 위 사진과 같이 벽에 그림자가 생긴다. 빛을 한군데로 집중적으로 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.
반면에 SMD 즉, 확산형 매립등의 경우에는 위 사진처럼 고르게 빛이 퍼진다. COB 처럼 산모양의 그림자가 생기는 것이 싫다면 확산형을 고르는 게 좋다.
COB와 확산형 매립등 중 뭐가 좋다고 할 순 없다. 장소에 따라 어떤 조명이 적합한지가 다르기 때문이다. 또한 빛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와 은은하게 퍼지는 빛이 좋은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기호에 맞춰서 조명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다.
댓글 쓰기